Various Small Fires is pleased to present a two-person exhibition by Jungyoon Hyen and Mark Yang in its Seoul space. Like the exhibition title Inanimatefy, a unique term coined by combining ‘inanimate’ with ‘~to make (-fy),’ both artists take away the subjects’ lives and grant new meaning to their existence. Two young Korean-born artists across different time zones show recent works sharing the same subject matter of the body, continuing their exploration in sculpture and painting. Their ‘inanimate-fying’ practices are accompanied by the writings of Nowk Choe and Minjoo Lee for the Seoul show.
Hyen and Yang's depiction of the anatomical fragments is not entirely unprecedented and the subject matter has attracted many artists historically. In Severed Limbs (1818) by French Romantic painter Théodore Géricault, the arrangement of arms and legs detached from a torso evokes more than just fear. The meticulous display of objects dividing the canvas plane is often considered Géricault's exploration of painting's formality. The works exhibited in Inanimatefy that borrow organic shapes—mainly referring to the human anatomy—have a closer correlation with formative language that emphasizes the intrinsic properties of each medium, e.g., the materiality of sculpture and the flatness of painting.
The male nude is Yang's constant and distinctive subject, but it carries a clearer role in his new works. Intertwined bodies pulling, pushing, and stacking within the frame, pay tribute to the artist's personal experience as a wrestler in his youth. Although the naked Asian men with lined eyes may tempt the viewer to focus on identity discourse, according to Yang, they exist as "planes and lines to fill the surface of the canvas." This intention has become more evident in the artist's work within the past year. As seen in Posteriors, the artist composes copious faceless figures to castrate the narrative that viewers may presume. The four alternating men cased within Boxed's canvas frame exist almost as a pattern from a distance. In Three Asleep, the placid curves running from the figures' crowns to buttocks resemble layers found in landscape paintings. Unlike the faces that implied specific interpretations in Yang's earlier works, they reappear here, functioning equivalent to other body parts as a visual form.
Occupying the gallery wall and floor space, Hyen's sculptures emit their ego. As a metaphor for the inevitable power struggle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the artist devises every exhibition as a collective story where each work plays a particular role. Departing from the system where they were once entangled with various gestures and gazes that resisted, confronted, contradicted, and observed each other, Hyen's new sculptures entail their own narrative through their distinctive materiality and form. The supple tree trunks squeezing their way out through the confined iron fences that the artist encounters every day in Seoul's urban streets are transformed into flesh and metallic skeletons.
In Hyen's works, every amalgam of materials with contrasting textures cultivates respective tension and emotion. On the wall, both I got over you (almost) and I got over you explicitly expos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physical strife of iron rods skewing into two somatic masses resembling human torsos. Moreover, the sculptures overlaid with an ephemeral gesture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new relationship. Hyen's metal chains—which, in her previous works, were once used to restrain two pieces together or as the vertical axis of a hand-standing being—have now seemingly found a way to be comfortably symbiotic, displaying fluid movement.
- Curator, Hayoung Chung
Jungyoon Hyen (b. 1990, Seoul, South Korea, lives and works in Seoul, South Korea) received a B.F.A in Painting from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and M.A. in Sculpture from Royal College of Art, London. Her work has been shown in solo exhibitions at Songeun Art Cube, Seoul; Korean Cultural Centre UK, London; and Factory 2, Seoul. Recent group exhibitions include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Royal College of Art, London; Camden Art Centre, London; La Ira de Dios, Buenos Aires; The Royal Edinburgh Sculpture Court, Edinburgh; and Space K, Seoul.
Mark Yang (b. 1994, Seoul, South Korea, lives and works in Brooklyn, NY) received a B.F.A from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and an M.F.A. from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Yang presented solo exhibitions at And Milk at Various Small Fires, Los Angeles; Dallas Art Fair;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and Steve Turner, Los Angeles. The artist has been in group exhibitions at Half Gallery, Los Angeles; Wallach Art Gallery, New York; Saga, Seoul; Steve Turner, Los Angeles; Thierry Goldberg, New York; and Ki Smith Gallery, New York. His work is included in the public collections of the High Museum of Art, Atlanta; The Mint Museum, Charlotte; and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Miami.
Hayoung Chung is based between New York and Seoul, curated Body Language (2021, SAGA) and Haegue Yang - O2 & H2O (2020,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others. She contributes to international media such as Art Forum, Frieze, Hyperallergic and Public Art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art scene.
베리어스 스몰 파이어스는 현정윤과 마크 양의 2인전 <Inanimatefy>를 서울에서 개최한다. 형용사 ‘무생물의’(Inanimate)에 ‘~을 만들다'(-fy)를 덧붙여 만든 전시의 제목처럼, 현정윤과 마크 양은 대상의 생을 앗는 동시에 그들에게 새로운 존재의 의미를 부여한다. 각기 서울에서 조각을 뉴욕에서 회화 작업을 전개해 온 두 젊은 한국 작가는 '몸체'라는 공통 소재를 활용한 신작을 선보인다. 본 전시는 살아있던 몸을 무생물로 만드는(Inanimate-fy) 두 작가의 작업을 이민주, 최나욱의 글과 함께 소개한다.
잘린 몸이나 혹은 이를 떠올리게 형상에 대한 이들의 접근 방식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 작가 테오도르 제리코의 <절단된 사지>(1818)에서 교묘히 진열된, 몸통에서 떼어낸 팔과 다리는 공포를 자아내는 단순한 상징을 넘어선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이 오브제들은 캔버스 평면을 치밀한 계산으로 분할하며 제리코가 의도했던 회화 형식에 대한 실험으로 읽히곤 한다. 마찬가지로 이 전시에서 다루는 작품들은 신체나 유기체의 형상을 빌려오지만 각 매체만의 고유한 속성, 즉 조각의 물성과 회화의 평면성을 드러내는 조형 언어로 이들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더욱 긴밀한 접점을 갖는다.
남성 누드는 마크 양에게 여전히 유일무이한 소재지만 그 역할은 더욱 명확해졌다. 작가가 레슬러로 활동한 유년기의 경험은 꼬여있고, 당기고, 밀고, 쌓여있는 남성들로 발현된다. 가느다란 눈의 벌거벗은 동양 남성을 보며 정체성 담론을 꺼내고 싶은 충동이 들겠지만, 그에게 “누드는 캔버스를 채우는 면과 선의 도구”에 불과하다. 2021년 이후 이러한 의도는 도드라지는데, 작가는 얼굴 없는 신체의 일부를 반복적으로 배치해 관객이 회화 속 인물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내러티브를 적극적으로 거세한다. 이번 전시의 <Posteriors>가 그 예이다. 한편, <Boxed>에서 사각형의 프레임을 채우는 남성 누드는 패턴으로 존재하며, <Three Asleep>속 정수리에서 둔부로 이어지는 곡선은 풍경화의 근경과 원경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얼굴과 완전한 신체가 재등장했지만, 이 얼굴들은 마크 양의 초기작과 달리 더는 메시지를 전하지 않으며 다른 인체의 부분과 같이 캔버스를 채우는 도구라는 동등한 역할을 부여받는다.
현정윤의 조각들은 전시장 벽면과 바닥 일부를 점거하며 독립적 자아를 내비친다. 사회적 구조와 개인 사이 힘의 관계를 다뤄온 작가에게 최근 전시는 일종의 이야기 단위였으며 각 작품은 이 이야기 속 캐릭터로 존재했다. 저항하고, 대립하고, 어긋나고, 관망하는 다양한 몸짓과 시선으로 얽혀있는 유기적인 군상을 벗어나,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작품 고유의 물성과 형태가 암시하는 개별 서사에 주목한다. 그가 시내 가로수길에서 맞닥뜨린, ‘쇠 울타리를 비집고 나온 나무의 연한 몸체’는 말랑해 보이는 옅은 색의 살점과 차가운 금속 뼈대로 치환된다. 상반되는 질감의 재료들은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긴장 관계와 감정을 형성한다. 특히 <I got over you (almost)>, <I got over you>는 인간의 토르소를 떠올리는 두 덩어리에 쇠창살을 욱여넣어 물성의 대립이 자아내는 불편함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찰나의 동세를 덧입힌 조각은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암시하는데, 전작들에서 두 개의 덩어리를 한 데 옭아매거나 물구나무의 가파른 축이 되었던 쇠사슬은 <All this way to meet you>에서 제법 공생이 편해진 모습으로 유연한 동작을 구사하기에 이른다.
현정윤(1990년 대한민국 서울 출생, 서울에서 거주하며 작업)은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 학사와 영국왕립예술학교 조소과 석사를 졸업했다. 작가는 서울 송은 아트큐브, 런던 한국문화원, 서울 팩토리 2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최근 단체전은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모색>, 런던 영국왕립예술학교, 런던 캠든 아트 센터, 부에노스 아이레스 라이라 데 디오, 에든버러 왕립 조각 코트, 서울 스페이스 K에 참여했다.
마크 양(1994년 대한민국 서울 출생, 미국 뉴욕에서 거주하며 작업)은 아트센터디자인대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석사를 졸업했다. 작가는 로스앤젤레스 베리어스 스몰 파이어스 안에 있는 프로젝트 공간 앤드 밀크, 댈러스 아트페어, 서울 키아프, 로스앤젤레스 스티브 터너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로스앤젤레스 하프 갤러리, 뉴욕 왈라치 갤러리, 서울 사가, 로스앤젤레스 스티브 터너, 뉴욕 티에리 골드버그 갤러리, 뉴욕 키 스미스 등에서 단체전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애틀랜타 하이 미술관, 마이애미 현대미술관, 샬럿 민트 미술관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정하영은 서울과 뉴욕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하며 <Body Language>(2021, SAGA), <양혜규 - O2 & H2O>(2020, 국립현대미술관) 등 다수의 전시를 선보였다. <Artforum>, <Frieze>, <Hyperallergic>, <퍼블릭아트> 등 국내외 매체에 동시대 미술 관련 글을 기고하고 있다.